• 화면 크게
  • 화면 작게
  • 인쇄하기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새창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배려하고 존중하는 학교 생활교육 내실화>


「더공감 생활교육」 확산을 위한 교원 역량강화

  • 평화로운 학급공동체를 위한 담임교사 연수 운영: 2~3월, 희망 교원
  • 회복적 생활교육 교원 역량강화 연수 운영: 7~9월, 희망 교원
  • 학교폭력 책임교사 회복적 생활교육 역량강화 연수 운영: 2월, 8월

학교폭력 예방교육 강화

  • 어울림 수업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교육
    • - 어울림 집단 따돌림 예방활동
    • - 어울림 사이버 따돌림 예방활동
    • - 어울림 언어폭력 예방활동
  • 학교자율사업선택제 연계 어울림 수업 운영 확대
    • - 어울림 수업 교사 역량 강화 연수 지원
  • 관계회복 중심의 평화교실 운영: 연중
  • 학생 맞춤형 학교폭력 예방교육 운영 지원: 3~4월, 9~10월
  • 인성을 함양하는 학교폭력 예방 다도예절교실 운영 지원: 4월, 유·초·중 25교
  • 학생자치 중심의 학교폭력 예방 활동: 연중
    • - 평화로운 학교를 위한 학생자치 연계 캠페인 활동 지원

학교폭력 사안처리 업무 지원 강화

  • 학교폭력 온라인 실태조사 및 상담 내실화
    • - 학교폭력 온라인 실태조사: 4월, 9월
  • 학생생활지도 및 학교폭력 사안처리를 위한 교원 역량강화 연수 운영
    • - 학교폭력 사안처리 온라인 지원 시스템(공감마당) 사용자 연수: 2~4월, 9월
    • - 학교폭력 전담기구 운영 및 사안 처리를 위한 교감, 학생부장 역량강화 연수: 2~4월, 9월
  • 관계회복 중심의 학교폭력 사안처리 업무 지원
    • - 교육지원청·학교 담당자 간의 적극적 소통 및 업무 전담 지원체제 운영
    • - 교육지원청 분쟁조정지원단 구성·운영: 5명
    • - 학생·학부모 관계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 교육지원청 업무담당자, 책임교사, 학교전담경찰 합동 연찬회: 4~5월
  •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구성·운영: 8소위원회, 48명
    • -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역량강화 연수: 2월
    • -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심의 개최: 연중

아동학대 예방 및 사안처리 지원 강화

  •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연수: 연 1시간 이상
    • - 교직원, 학부모 대상 아동학대 예방 및 신고의무자 교육 실시
  • 아동학대 예방 및 사안처리를 위한 교감 역량 강화 연수: 4월, 9월

학교폭력 관련학생 치유와 회복을 위한 지원 강화

  • 관심군 온종일케어 프로그램 운영: 상시학교(4교), 순회강사(2명)
  • 학교폭력 피해학생 치료 지원
    • - 피해학생 상담 및 치유 프로그램 운영: Wee클래스, Wee센터 연계
    • - 학교폭력 피해학생 전담 기관 연계 및 치료비 지원
    • - 성폭력 피해학생 연계 치료: 전남 서부 해바라기센터
  • 학교폭력 가해학생 특별교육 운영 지원
    • - Wee클래스 및 Wee센터 특별교육 프로그램 운영
    • - 지역 내 기관 특별교육 프로그램 편성 협의 및 운영 연계 안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학교폭력 예방 활동

  • 학교폭력 위기학생 멘토링(맘-품 지원단) 운영
  • 지역사회연합학생생활지원단 운영
    • - 지역사회 연합 합동교외생활지도
    • - 목포경찰서와 함께하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 및 폭력·범죄예방 캠페인
    • - 목포청소년사랑지킴이단 합동 지도

<참여와 협력의 학생자치 활성화>


학생자치활동 기반 조성

  • 학생의 수요를 반영하는 학교 학생자치활동 운영 계획 수립·시행
  • 교육과정 내 학생자치활동 시간 확보
    • - 정기적인 학급회, 학생회 운영을 위한 시간 편성·운영: 월 1회 이상
    • - 교과, 창의적체험활동 재구성으로 학생자치활동 시간 확보
  • 학생생활규정 자체 점검·모니터링 및 개정 지원
    • - 학교단위 자체 점검 및 컨설팅 실시
    • - 인권친화적인 학생생활규정 제·개정
  • 학교기본운영비 교당 경비의 2% 이상 학생자치활동 예산 편성
    • - 학생회 활동비(간담회, 학생회 주관 행사 지원비, 학생회 선거), 리더십 캠프 등
  • 학생회 공약이행 실행비 지원: 3월, 초·중·고

학생의 학교운영 참여 확대

  • 학교의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학생 참여 보장
    • - 학생회와 학교장 간담회 정례화 및 학생회 의견 반영
    • - 학생생활규정 제·개정, 학교시설 개선, 학사일정, 교육과정, 현장 체험학습 등 학생의 의견 청취·반영
    • - 학교운영위원회의 학생대표 참여 및 학생 의견 제안
  • 학생회 주관 자율 연구 동아리 구성·운영
  • 학생참여예산제 운영학교 지원
    • - 학생회 예산 집행 자율권 부여

학생자치활동 역량 강화 지원

  • 학생 참정권 교육 지원
  • 학생자치회 활동 운영을 위한 컨설팅 지원: 연중
    • - 학생자치활동 자문 및 컨설팅단 구성·운영
  • 학생자치 역량강화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
    • - 초·중 리더십 캠프: 4월, 9월
    • - 고등학교 체인지메이커 교육: 9~12월
  • 학생자치활동 담당 교원 역량 강화 지원
    • - 학생자치 업무 담당교사 역량 강화 워크숍: 4월

학생자치 네트워크 활성화

  • 초·중·고 연합 목포학생회연합회 구성·운영
    • - 학생급별 온라인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학생회연합회 활성화 지원
    • - 학생회 중심의 월별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학교급별 학생회연합회 모임 정례화: 5월, 7월, 10월, 11월

청소년미래도전프로젝트 내실화 지원

  • 청소년미래도전프로젝트 활동팀 선빌 및 운영 지원
  • 청소년미래도전프로젝트 활동팀 성과 나눔 지원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