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 교육정보 > 목포마을학교 > 사업개요
마을교육공동체란
- 학교와 마을이 상호 협력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통해 학교 교육력을 높이고 지역 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연대하는 교육공동체
마을학교란
-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이 자치역량을 바탕으로 마을에 학교 밖 학교를 구성하여 방과 후 활동이나 돌봄 기능을 지원하는 등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민주시민의 자질을 지닌 마을의 주인으로 성장시키고자 돌봄과 배움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학교
목포마을학교 목적
- 목포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 배움·돌봄 환경 구축
- 전남목포혁신교육지구 운영을 통한 학생·지역민들의 동반 성장을 위한 여건 조성
- 목포에 형성된 다양한 교육 인프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조직 및 운영으로 학교 혁신 지원
목포마을학교 방향
- 목포 지역사회 여건을 고려한 다양한 유형(원도심형/인구밀집형)의 모델을 적용한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 학교와 마을의 경계를 허물고 마을의 교육자원 활용
- 마을과 학교가 지속적 소통할 수 있는 지역의 교육 협력 기반(거버넌스)구축
- 목포시청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과 연계 운영
- 마을교육공동체 참여자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워크숍 운영
2021년도 목포마을학교 현황
구분 | 마을학교명 | 운영 프로그램 | 비고 |
---|---|---|---|
도지정 마을학교 (1기관) | 함께평화 마을학교 | - 마을방송국운영 - 교내동아리-마을축제 연계 - 마을네트워크활성화 - 마을(청년활동가)교사 육성 |
|
시지정 마을학교 (8기관) | 꿈자락(꿈꾸는 자녀들의 낙원) 마을학교 | - 그림책속으로 풍덩 (그림책읽고 놀이활동 및 도시탐험) |
|
유달리행복한마을학교 | - 우리함께 돌아볼까? 동네 한바퀴 (골목길따라 걸으며 우리마을 보물찾기) |
||
북뿌리이음 마을학교 | - 우리가 알려주는 슬기로운 생활 동화 & 패러디 동화책 제작하기 (기존의 동화를 각색 새롭게 패러디) |
||
양을행복 마을학교 | - 우리가족캠프(11월 1회운영) | ||
하당행복교육허브 마을학교 | - 찾아가는 마을학교(5차시) - 찾아오는 마을학교(5차시) - 하당 행복 마을 축제 |
||
원도심 행복마을학교 | - 마을과 함께하는 동아리 활동 - 마을진로직업지도 만들기 - 직업체험활동 |
||
생태교감 마을학교 | - 동물 매개 예술 교육 미디어 크리에이터 교육 |
||
아름드리 마을학교 | - 세대 통합 온(溫) 프로젝트 (학생과 마을어르신 1:1매칭 – 식물을 활용한 원예치료활동) |
||
합 계 | 9기관(단체) |
기대효과
- 마을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배움과 돌봄의 환경 구축으로 목포 교육력 제고
- 교육 참여를 통해 목포시민들이 교육주체로 성장하여 교육자치 기반 구축
- 어디에서나 배움이 일어나는 폭넓은 목포교육생태계기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