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참여·소통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열린행정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연구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정보공개
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기관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트위터 공유 카카오 공유 페이스북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SNS 공유영역 닫기
전남교육정책연구소(소장 고윤혁)는 2025년 6월 24일(화) 영광교육지원청을 방문하여, 지역 기반 생태교육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찾아가는 생태환경도감 제작교실』 운영 현황을 공유받고 향후 생태전환교육의 정책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하였다.
이번 방문은 영광교육지원청(교육장 정병국)이 2025년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생태환경도감 제작 프로그램의 내용을 공유하고 ESG 가치에 기반한 생태전환교육의 정책적 확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영광교육지원청의 『찾아가는 생태환경도감 제작교실』은 지역 생태자원을 기반으로 한 참여 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이다. 초등학생들이 직접 학교 및 마을 주변 자연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그림과 글로 담아 생태도감을 제작하는 6차시 체험 중심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 강사가 학교를 직접 찾아가 수업을 운영하며, 학생들은 생물 관찰, 스케치, 기록, 소개글 작성, 발표 등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한다. 완성된 생태도감은 참여 학생들의 결과물을 엮어 인쇄되며, 추후 실물 도감으로 제공되어 학습의 성취감과 지역 생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 고윤혁 소장은 “영광교육지원청이 운영 중인 생태도감 제작 프로그램은 학생 주도의 체험 중심 교육과 ESG 가치 실현이라는 두 축을 균형 있게 담아낸 우수 사례”라며, “지역 밀착형 생태전환교육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정책협의를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영광교육지원청 정병국 교육장은 “지역 자원을 교육 콘텐츠로 재해석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영광교육이 생태전환교육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남교육정책연구소와 영광교육지원청은 이번 협의를 통해 지역 밀착형 생태교육 모델이 지속가능한 생태전환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교육정책 협의를 확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앞으로 양 기관은 사업 만족도 결과와 학생 성과를 바탕으로 생태전환교육의 질적 확대와 정책적 연계 방안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